• [칼럼] 연봉 35% 포기하고 '엄마' 과학자의 삶 선택했다 (윤정인활동가)
    연봉 35% 포기하고 '엄마' 과학자의 삶 선택했다

                                                                                                                       칼럼니스트 윤정인

  • [연대발언] 울산은 지금 즉시 돌고래 방류를 결단하라 -노미정 활동가 연대발언

    [발언] 정치하는엄마들 울산모임 노미정 활동가

    코로나19로 우리는 전세계적으로 갇혀있는 생활을 경험했습니다. 두세달 정도였지만 너무 힘들고 고통스러웠습니다. 수많은 사람들이 ‘밖으로 나가고 싶다. 사람을 만나고 싶다’고 외쳤습니다.
    10년동안 평생을 갇힌 수족관에서 살며, 죽어서야 수족관 밖으로 나올 수 있었던 고래 '고아롱'의 죽음을 보며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너무 무섭고 아픕니다.

    '고래생태체험관'이라고 합니다. 생태교육은 생명을 귀하게 여기는 마음에서 시작해야합니다. 돌고래를 좁은 수족관에 가두고,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전시공연을 시키고, 등에 올라타는 체험은 감금과 학대입니다.

    울산에서 16년째 살고 있습니다. 울산이 성장과 개발의 도시가 아니라 생태와 환경의 도시가 되기를 바랍니다. 이제는 아이들에게 고래체험이 아니라 생명의 소중함을 알려줘야 합니다.

    고래를 구경하러 수족관에 가는 발걸음을 멈춰주세요!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의 돌고래들, 그리고 수많은 갇혀있는 돌고래를 그들이 원래 살아야할 곳, 바다로 보내주세요!

  • [발제문] ‘아이가 안전한 나라’ 어린이안전처 신설 국회 토론회 (이소현활동가)

    [발제] 어린이안전처

    정치하는엄마들 활동가 이소현

      한준호 의원님께서 대한민국의 모든 양육자들의 바람을 담아, 어린이 안전처 신설 법안인 ‘정부조직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로 발의해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 ,
    ,
    ,
    ,
    [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문] 한화는 죽은 벨루가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지고 남은 벨루가들을 방류하라

    [시민사회단체 공동기자회견문] "한화는 죽은 벨루가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지고 남은 벨루가들을 방류하라" 
     
    한화 아쿠아플라넷에 갇혀 살던 벨루가(흰고래) 한 마리가 폐사했다. 지난 20일 새벽, 아쿠아플라넷 여수의 벨루가 3마리 중 하나인 수컷 ‘루이’가 죽은 것. 사인은 조사 중이나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야생 벨루가의 평균 수명은 30-50년에 이르는데, 루이는 고작 12살이었다. 또, 이틀전 울산 남구 고래생태체험관의 돌고래 ‘고아롱’도 폐사했다. 고래류가 아쿠아리움과 같은 감금 시설에서 정상적으로 삶을 영위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까운 희생들로써 다시 한번 증명되었다. 
     
    최근 10년간 국내의 돌고래 보유 수족관에서 죽은 돌고래의 비율은 무려 48%에 달한다. 루이와 고아롱의 죽음으로 폐사율은 50%를 넘었다. 돌고래 둘 중 하나가 죽어나가는 곳, 이것이 수족관이다. 바다에서 수천 km를 이주하며 수심 700미터까지 잠수하는 벨루가에게 고작 7m 깊이의 수조는 감옥과 다를 바 없다. 수족관을 방문해 표를 사고 사진을 찍고 공유하는 모든 행위는 이 잔인한 시스템에 기여하는 일이다.    

  • [기고] 축구선수가 되고 싶은 딸에게 할 수 있는 말 (배수민)

    "엄마, 나 축구선수 될래요."

    8살 딸아이가 축구의 '축'자도 모르면서 축구선수가 되겠단다. 공놀이가 그저 좋아서 그런 꿈을 꾸는 것이리라. 엄마인 나는 정말 멋진 꿈이라며 아이를 격려했다. 하지만 속으로는 '운동선수는 절대 안돼. 특히 여자는.'이라는 생각을 할 수밖에 없었다. 고(故) 최숙현 선수의 죽음에 대한 뉴스를 보면서 체육계의 고질적인 행태에 완전히 질려버리고 말았기 때문이다. 

    아이 아빠도 내게 단호히 주의를 준다. 

    "여자가 운동선수는 절대 안돼. 무슨 일을 당할 지 모르는 곳이 체육계니까."

    아이를 걱정하는 마음에서 그렇게 말을 했겠지만, 기본적으로 체육계에 대한 불신이 매우 강하다는 뜻일 것이다. 무엇보다 많은 남성들이 여성 운동선수를 볼 때 그런 '걱정'을 섞은 시선으로 보지 않을까 싶어 서글프고 속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