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정일보]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식재료 경쟁입찰 시도 ‘보류’…급한 불은 껐으나

프로젝트

1

 

교육청 일방통행에 분노한 농민·시민 200여명 기자회견 개최

김동연 경기도지사도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에 직접 우려 표명

농민·시민과 김 지사까지 모두 반대하자 교육청도 일단 물러서

 

 

경기도교육청(교육감 임태희)이 ‘동일업체 수의계약 횟수 연간 5회 이내 제한’ 등을 통해 경기도 학교급식 체계를 사실상 저가 경쟁입찰 체계로 바꾸려던 계획을 일단 유보했다. 경기도 농민·시민사회단체부터 도내 정치권, 나아가 김동연 경기도지사에 이르기까지, 학교급식 체계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된 경기도의 대다수 구성원이 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안의 철회를 촉구 중인 상황에서, 기존 계획대로 오는 10월 1일부터 변경안을 실시하자니 부담을 느낀 것으로 풀이된다.

경기도교육청의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업무처리 개선사항(변경안)」을 반대하는 49개 농민·시민사회단체 및 사회연대경제조직들(8월 6일 기준)의 연대체인 ‘학생먹거리안전 위협, 친환경급식 공공성 훼손하는 경기도교육청 식재료 저가 경쟁입찰 체제 도입 저지 시민사회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지난 7일 오전 수원시 경기도청 앞에서 ‘학교급식 저가 식재료 경쟁입찰 유도, 친환경 급식 공공성 훼손하는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식재료 구매방식 변경지침 규탄 학부모·먹거리·생산자·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을 열었다.

기자회견 마무리 직전, 경기도교육청의 변경안 실시 보류 소식을 접한 참가자들은 “그나마 한숨 돌렸다”, “급한 불은 껐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완전 철회’가 아닌 ‘보류’이기에, 결코 안심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공대위는 △경쟁입찰 지침의 즉각적이고 완전한 철회 △이번 사태에 대한 임태희 교육감의 사과 및 경기도교육청 차원의 학교급식 관련 민·관·정 협력 관계 회복 노력 △경기도교육청의 ‘공공성 기반’ 친환경 급식 공급 체계 강화 방안 즉각 수립 △경기도·경기도교육청과 중앙정부 간 협력 통한 지속가능한 친환경 학교 무상급식 실시대책 마련 등을 촉구 중이다.

어떻게든 오는 8월 말 2학기 개학 전에 변경안의 완전 철회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게 공대위의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공대위는 오는 21일경엔 기자회견이 아닌 대규모 집회를 통해 더욱 강하게 경기도교육청의 변경안 철회 촉구에 나선다. 

 

📰[한국농정신문 | 기자 강선일] 전문 보기
https://www.ikp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67966

 

🟣활동가 발언문 보기
https://www.politicalmamas.kr/post/4921

날짜
종료 날짜

댓글 달기